변호인의 사회적 배경 및 영화 줄거리
변호인은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인권변호사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젊은 인권변호사 시절에 발생했던 부림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부림사건이란 제5 공화국 시절 공안당국에서 독서모임을 하던 교사와 학생들을 불온서적으로 선정되었던 도서를 학습하였다는 이유로 그들을 체포하고 잔혹하게 고문하고 거짓자백을 받아내게 한 조작 사건이다. 이 당시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들의 변론을 맡았었고 이로 인하여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으며 입지를 다지게 된다. 그 내용을 모티브로 변호인이라는 영화가 탄생하게 되었다.
변호사 송우석(송강호)은 변호사이지만 돈을 벌기 위해서 부동산 등기를 주 업무로 하는 생계형 변호사이다. 변호사가 하찮은 등기업무를 하기에 다른 변호사들로부터 무시를 받게 된다. 우석은 돈을 벌어 가족을 책임져야 하는 막중한 자리에 있는 가장이기 때문에 돈을 많이 벌기 위해 부동산 등기업무를 하게 되었다. 부동산 활황기 시절 등기업무로 많은 돈을 번 우석은 돈 없이 배고팠던 고시생 시절을 떠올리며 돼지국밥집에서 가격을 지불하지 않고 도망갔던 기억을 더듬었다. 그 당시 돼지국밥집의 사장이었던 순애(이영애)를 찾아가 그 시절을 사죄하고 외상값을 지불하려 하였으나 순애는 자주 찾아오라는 말을 남기며 우석을 용서하게 된다. 그 이후 사무장인 박동호(오달수)와 함께 매일같이 돼지국밥집을 드나들게 된다. 그러던 중 순애의 아들인 진우(임시완)가 차동영(곽도원) 형사에게 종북세력으로 낙인찍히게 되어 연행되게 된다. 그 이후 구타와 협박, 고문 등으로 협박을 당하고 면회 당시 진우의 몸상태를 확인한 우석과 순애는 충격에 빠지게 된다. 심각한 구타가 있었음을 확인한 진우는 영애의 간절한 부탁을 받고 고민하던 중 사무장 동호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진우의 변호를 맡게 된다. 각종 증거와 논리로 재판 과정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고 결정적인 증인까지 확보하여 증언을 하였으나 공안의 방해와 권력의 힘으로 재판의 결과가 어이없게 뒤집혀버린다. 결국 피고인들은 억울하지만 3년 선고를 받으며 재판의 결과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재판이 있고 난 이후 우석은 더 이상 부동산 등기업무를 하는 변호사가 아닌 인권변호사의 길을 걷게 된다. 그의 활약을 지켜본 수많은 변호사들이 우석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이며 이 영화는 끝을 맺게 된다.
영화의 업적과 관객들의 관람후기
변호인은 최종 관객수 1138만 명을 기록하면서 천만 관객을 넘긴 최고의 명작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변호인은 2014년 청룡영화상에서 최우수 작품상과 백상 예술대상 영화 부분 작품상을 수상하면서 작품성도 인정받은 영화이다. 이 영화는 1980년대 제5 공화국 군사정권 시절을 잘 알지 못하는 청소년들과 청년들에게 많은 일깨움을 주는 영화이다. 그들은 상영 도중에 군사정권의 시대상과 그 당시 나였으면 어떤 선택을 하였을지에 대한 상황들을 많이 보여주었고 그 시대 상황에 대한 간접경험을 할 수 있었으며 명품 배우들의 연연이 보태져서 영화에 더욱 몰입을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관객들 대부분 그 시절에 대한 상황과 진실을 알게 해 준 영화에 대해 감사와 호평에 대한 평가들이 줄을 이었다.
영화를 보면서 그 당시 시대상과 느낀 점
1980년대 제5 공화국 시절의 재판 과정을 보면서 그 당시 군사정권의 힘이 얼마나 강했는지를 영화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그 시절 진실은 손바닥으로 가려버리고 권력자들이 원하는 결론을 낼 수 있었던 시기였다. 그 시절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하여 얼마나 많은 희생자들이 피를 흘려 민주주의를 이루어 냈을까 하는 생각을 하다 보니 저절로 숙연해진다. 세상을 조금이라도 변화시키기 위해서 그들의 모든 것을 버려야 하였으며 심지어 목숨까지 버리며 민주주의를 지켜내려고 했었을 것이다. 이런 작은 변화들과 정성들이 조금씩 모이고 모여 결국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6월 항쟁을 이끌어 냈을 것이다. 이 영화 역시 군사정권의 부당함에 맞서 싸우며 송우석이 민주주의를 지켜내려고 고군분투하지만 번번이 권력에 힘에 가로막힌다. 수많은 증거와 증언을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재판의 결과를 미리 정해놓은 판사와 그리고 정권의 도움으로 증거의 신뢰성을 뒤집어 버리는 장면을 보면서 그 당시 군사정권이 얼마나 시민들을 속박하고 구속하면서 그들의 삶을 옥죄어갔는지 추측할 수 있었다. 부당한 재판의 결과를 지켜보고 있던 법률 관계자 및 대한민국의 시민들이 결국에는 더 저항을 가진 민주 투사들을 길러냈을 것이고 민주주의를 희망하는 시민들의 염원은 점점 더 거대해졌을 것이다. 우리는 지금의 상식과 이해가 바탕이 되는 민주주의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자랑스러워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였던 민주주의 투사들에게도 감사함을 가지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